해리의 2월 1일 포스팅 "추운 겨울, VC의 가치투자에 대해 생각하다"의 후속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후속 글을 쓰게 된 계기는 『구루들의 투자법』이라는 책을 읽고 이 책에서 제시한 가치 투자의 기준을 바탕으로 VC 투자의 투자 방법론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가치 투자의 개념과 발전

“모든 좋은 투자는 가치 투자다” 라는 찰리 멍거의 명언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벤처 투자 역시 가치투자의 영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가치 투자란 무엇일까요?

가치 투자의 창시자인 벤자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가치 투자는 안전 마진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투자 방법입니다. 기업의 내재가치에서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지분을 매수하는 것이죠. 여기서 내재가치는 순자산가치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조금 더 보수적으로는 자산 중 유형자산만을 고려할 수도 있고 극단적으로는 현금성자산만을 활용하여 계산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구한 순자산가치와 시가총액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큰 기업의 지분을 매수하는 것이 벤자민 그레이엄이 창시한 가치 투자입니다.

source: 벤자민 그레이엄 - 가치투자, note: strategic alpha

이러한 가치 투자의 개념은 워런 버핏에 의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됩니다. 워런 버핏은 벤자민 그레이엄의 가치 투자를 담배꽁초 투자라고 표현하며 한층 발전된(?) 가치투자의 개념을 제시합니다. 워런 버핏도 초기에는 스승인 벤자민 그레이엄의 방법에 맞춰 기업 투자를 하였고 성공을 거뒀습니다.

다만, 몇 차례 실패를 경험하기도 하였고 더 이상 순자산가치에 비해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종목을 발견하기가 어려워지자 새로운 가치 투자의 개념을 제시하게 됩니다. 워런 버핏이 제시한 가치 투자의 개념은 무엇일까요?

출처 : 구글 이미지

그는 가치 투자를 적절한 기업의 주식을 훌륭한 가격에 사는 것이 아닌 훌륭한 기업의 주식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가 굴리는 운용 자산의 규모가 워낙 커져 스몰캡 종목들에 대한 투자가 제한되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허용 가능한 매수 가격에 대한 범위를 넓히고 기업의 성장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가치 투자의 본질이 기업 내부에 있음을 주장하였습니다.

가치투자의 개념을 정립했으니 이제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가치 투자를 했다고 말할 수 있을지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이하 내용은 <구루들의 투자법>이라는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1) 과거에 꾸준히 이익을 내왔는가? 2) 높은 이익률을 달성하였는가? 3) 많은 자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영위하는 사업이 단순한가? 4) 누가 운영해도 지금과 같은 실적을 낼 수 있는가? 5)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사업인가? 이런 질문에 ‘예’라고 대답할 수 있다면 그 회사에 대한 투자는 가치 투자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VC는 도대체 어떤 투자를 하는 건가요?

위에서 제시한 가치 투자에 대한 조건을 기준으로 VC의 투자가 가치 투자인지 아닌지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이메일 등록 후 인증을 위한 메일이 발송됩니다.

Click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